#결혼인식변화 #통계청
🔍 유익한 인사이트를 찾아드려요
우리나라 혼인건수는 지속적인 하락 추세에 있습니다. (출처 : 통계청)
2022년 우리나라 혼인 건수는 약 19만 2천건이었습니다.
이는 1970년 통계작성 이래, 52년 만에 가장 적은 혼인건수입니다.
또한 혼인건수가 가장 많았던 1996년에 비해서는, 무려 56% 감소📉한 수준이라고 하네요.
우리나라 결혼에 대한 견해 변화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. (출처 : 통계청)
'해야 한다' = '반드시 해야 한다' + '하는 것이 좋다' 합산
'하지 말아야 한다' = '하지 않는 것이 좋다' + '하지 말아야 한다' 합산
22년 결혼 해야 한다 의견은 50.1%로, 08년 대비 18%p 감소🔽했습니다.
반면에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의 의견은 43.2%로, 08년 대비 16%p 증가⬆️했네요.
감소한 만큼 증가 : 결혼에 대한 견해 변화 (견해 다양성 확대) 가 보이고 있습니다.
결혼 해야 한다 라는 의견에 대한 세부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.
"결혼 해야 한다" 에 대한 남여 의견
남여 모두 결혼 해야 한다 의견에 대한 지속적인 감소가 발생했으며,
남성의 의견이, 여성보다 평균 11%p 항상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.
"결혼 해야 한다" 에 대한 연령대별 의견
2010년에는 모든 연령대의 과반수 이상이 결혼 해야 한다는 의견이었으나,
2022년에는 50대 전/후로 양극화가 발생했습니다.
10대~40대 : 해야 한다 50% 이하 vs 50대 이후 : 해야 한다 50% 이상
결혼 해도 좋고, 하지 않아도 좋다 의견에 대한 세부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.
"결혼,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" 에 대한 남여 의견
남여 모두 상관 없다 의견에 대한 지속적인 증가가 발생했으며,
여성의 의견이, 남성보다 평균 10%p 항상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.
"상관 없다" 에 대한 연령대별 의견
2010년에는 모든 연령대의 상관 없다는 의견이 절반 이하였으나,
10대~40대 : 상관 없다 50% 이상 vs 50대 이후 : 상관 없다 50% 이하
"결혼은 필수" 의견은 줄어들고 있으며, 다양한 견해 변화가 보이고 있습니다.
남성이 상대적으로 결혼에 대한 니즈를 더 지니고 있으며,
상대적으로 낮은 연령대에서, 결혼은 필수라는 의견이 줄어들고 있습니다.
결혼과 관련된 기타 견해 변화 (가사분담) 도 살펴보겠습니다. (출처 : 통계청)
아내가 주로 하지만 남편도 분담해야 한다 의견이 30.3% (08년 대비 -30%p)
부부가 공평하게 해야 한다 의견이 64.7% (08년 대비 +32%p)
역시나 결혼 견해처럼 "빠진 만큼 증가" 됨이 보이네요.
다음으로 결혼 없이 동거에 대한 견해도 살펴보겠습니다. (출처 : 통계청)
결혼은 하지 않지만, 동거는 가능하다 라는 의견에 대한 변화도 있었습니다.
18년도를 기준으로 전적으로 동의함이 10%를 넘으며, 전체 동의 견해가 50%를 넘었어요.
앞서 말씀드린 것처럼, 선택 존중의 컨셉이 확대되고 있습니다.
💡 관련영상